무심코 버린 대형폐기물, 신고 없이 배출하면 최대 1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다행히 요즘은 온라인으로 5분 이내에 신고가 가능하니, 간편하게 처리해보세요.
이 글에서는 대형폐기물의 범위부터 인터넷을 통한 간단한 신고 절차까지 자세히 안내드립니다.
목차
1. 대형폐기물 정의

일반 쓰레기 봉투에 담기 어려운 부피나 무게를 가진 물건은 ‘대형폐기물’로 신고 후 처리해야 합니다.
✅주요 품목 예시
침대, 장롱, 소파, 매트리스, 책상
자전거, 러닝머신, 식탁, 의자
전기히터, 건조대, 선풍기 등
이러한 물품은 인터넷으로 사전 신청 후, 발급받은 신고필증을 부착해야 수거가 가능합니다.
⚠️대형폐기물과 폐가전제품
냉장고, 세탁기, TV, 에어컨은 겉보기엔 대형폐기물처럼 보일 수 있으나, 실제로는 '폐가전제품'에 해당됩니다.
이 경우엔 별도의 수수료 없이 폐가전 무상수거 서비스를 통해 무료 배출이 가능하니,
유료 신고 전에 꼭 확인해 주세요.
2. 금천구 대형폐기물 인터넷신고
서울시의 대형폐기물 신고는 통합 시스템이 아닌, 자치구별로 각각 운영되고 있습니다.
따라서 반드시 본인의 주소지 관할 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해야 수거가 진행됩니다.
📌대형폐기물 신고 방법
1) 구청 대형폐기물 신고 홈페이지 접속
2) 배출 신청서 작성하기
- 신청인 이름, 연락처 등 작성
- 희방 배출 예정일 및 장소 선택
3) 폐기물 검색 후 선택
4) 카드결제 및 계좌이체
5) 신고필증 인쇄해 폐기물에 붙여 배출하기
⚠️프린터가 없어도 걱정마세요!
신고필증이 출력되지 않더라도, 아래 내용을 수기로 작성해 폐기물에 부착하시면 정상적으로 인정됩니다.
- 인터넷 신고했음 문구
- 납부필증번호
- 폐기물 명칭
- 결제금액 및 배출 위치
3. 유의사항 및 FAQ
✔️ 수거는 언제 이루어지나요?
신고일을 기준으로 보통 2~3일 내 수거가 진행됩니다. 단, 주말과 공휴일은 수거 일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
✔️ 신고한 날 바로 배출할 수 있나요?
아닙니다. 당일 배출은 불가능하며, 수거 예정일에 맞춰 배출해 주세요.
✔️ 폐기물은 어디에 배출해야 하나요?
건물 출입문 앞 또는 공동주택의 경우 관리사무소가 정한 장소에 두시면 됩니다.
✔️ 집 안까지 들어와서 수거하나요?
불가능합니다. 건물 손상 및 사생활 보호 등을 이유로 실내 진입은 금지되어 있습니다.
✔️ 환불은 가능한가요?
대부분 수거 전날까지 가능하지만, 구청별 규정이 다르니 반드시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주세요.
4. 마침말
신고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.
대형폐기물은 인터넷으로 간단히 신고한 뒤 처리해야 하며, 이를 생략하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꼭 신고해주세요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 강남구 대형폐기물 인터넷 신고 및 가격 총정리 (0) | 2025.05.26 |
---|---|
서울 서초구 대형폐기물 인터넷 신고 및 가격 총정리 (0) | 2025.05.26 |
서울 관악구 대형폐기물 인터넷 신고 및 가격 총정리 (0) | 2025.05.26 |
서울 동작구 대형폐기물 인터넷 신고 및 가격 총정리 (0) | 2025.05.24 |
서울 구로구 대형폐기물 인터넷신고 및 수거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5.2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