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형폐기물을 사전 신고 없이 배출할 경우, 최대 1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다행히도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5분 내로 대형폐기물 신고를 완료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습니다.
특히 서울시의 경우, 구청별로 개별적인 신고 절차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,
반드시 거주지에 해당하는 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수거가 정상적으로 진행됩니다.
목차
1. 대형폐기물 VS 폐가전제품
대형폐기물 | 폐가전제품 | |
대표 품목 | 침대, 책상, 소파, 러닝머신 등 | 냉장고, 세탁기, 에어컨 등 |
수거 방법 | 인터넷 신고 후 수수료 결제 | 무상 방문 수거 신청 |
신고 필요 여부 | 사전 신고 필수 | 별도 신청없이 신청만 하면 됨 |
비용 | 유료(품목별 수수료) | 무료(조건 있음) |
홈페이지 | 👆🏻 구청별 대형폐기물 신고 | 👆🏻폐가전 무상수거 신청 |
세탁기, 에어컨, 냉장고 등은 대형폐기물로 신고해 배출할 수도 있지만,
사실상 ‘폐가전제품’으로 분류되어 무상 수거 서비스 대상에 해당합니다.
따라서 유료 신고 대신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면 무료로 배출할 수 있습니다.
2. 서울 대형폐기물 인터넷 신고방법
서울은 구청마다 대형폐기물 신고 시스템을 운영있어서, 해당 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신고가 가능합니다.
📌신고절차 안내
1) 구청 대형폐기물 신고 홈페이지 접속하기
2) 폐기물 배출 신청서 작성하기
- 신청인 정보(이름, 연락처 등)
- 배출장소
- 배출내역 및 배출예정일
3) 폐기물 검색 후 선택하기
4) 결제하기(카드결제 및 계좌이체)
5) 신고필증 출력 후 폐기물에 부착해 배출하기
3. 수거절차 및 유의사항
⚠️ 자주 발생하는 잘못된 배출 실수
● 신고만 하고 스티커를 부착하지 않은 경우
- 인터넷으로 신고만 완료하고, 납부필증 부착하지 않으면 수거 거부
- 반드시 폐기물 겉면에 눈에 띄게 스티커 부착할 것
● 베란다나 공동 현관에 물건을 놓은 경우
- 수거팀은 실내 공간에 진입하지 않음
- 반드시 외부 지정된 장소에 배출할 것
4. 마무리
대형폐기물은 미리 신고만 하면 어렵지 않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.
온라인으로 5분이면 간단하게 신청할 수 있으니 꼭 절차에 따라 신고 후 배출해 보세요!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 강서구 대형폐기물 인터넷 신고 및 수거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5.23 |
---|---|
서울 마포구 대형폐기물 인터넷 신고 및 수거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5.23 |
서울 대형폐기물 인터넷 신고 구청별 바로가기 (3) (0) | 2025.05.23 |
서울 대형폐기물 인터넷 신고 구청별 바로가기(2) (0) | 2025.05.23 |
서울 서대문구 대형폐기물 인터넷 신고 및 수거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5.23 |
댓글